본문 바로가기

TREND

바쁜 일상 속 자연을 느끼는 그린(Green)소비 올해 식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해보다 뜨겁습니다. 미국의 색채 전문 기업 팬톤(Pantone)이 올해의 컬러로 그리너리(Greenery, 연둣빛 색깔)를 선정하는 등 녹색식물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먹거리로서 신선한 야채와 티(Tea)를 찾는 경우가 많아지고, 플라워를 인테리어 메인 소재로 한 매장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즉, 식물을 테마로 한 소비활동(먹고, 느끼고, 반려하는 등)이 확산되는 모습인데요. 신한카드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그린소비’로 정의해 보았습니다. 바쁜 일상 속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그린소비 현상과 그 배경을 신한카드 빅데이터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식물을 컨셉으로 한 가맹점의 증가를 주목해 볼만합니다. 신한카드에 신규로 등록된 .. 더보기
서울의 주요 상권별 5개 업종 창업 및 이용현황 - 일반 대중음식편 더보기
올 가을에는 몇 권의 책을 사셨나요? 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고 계절은 어느새 완연한 가을로 접어들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지요.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고 하여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라고도 부르는데요. 그렇다면 이런 모습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도 나타나고 있을까요?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신한 트렌드연구소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계절별 소비패턴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가을은 독서의 계절인가요? 오랫동안 가을은 쾌청한 날씨와 여유로운 분위기 때문에 독서의 계절로 자리매김해왔죠. 하지만 서점 업종의 카드 이용건수를 확인해보았더니 서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계절은 봄이었습니다. 특히 3월에 이용건수가 많았는데요. 아마 신학기를 맞이해 참고서, 대학 교재 등 구매 기회 자체가 많다는 것이 영향을 준 듯 보입니다. 한편, .. 더보기
청년 사장님이 사랑하는 '뷰티' 업종 집중탐구 외모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실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외모'와 관련된 언급량을 분석해보니 2년 전인 2015년 대비 1.5배 증가하였습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고 활발한 SNS 활동으로 남에게 보여지는 '나'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고 있기 때문인 것 같은데요. 좀 더 예쁜 '나', 좀 더 멋진 '나'를 만들기 위한 뷰티 아이템인 네일케어, 패티큐어, 왁싱, 속눈썹 시술 등은 이제 더 이상 특별한 날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일상 속 근사한 '나'를 만들기 위해 집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셀프 뷰티 용품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이번 카드뉴스는 사람들의 관심이 꾸준히 커지고 있는 '뷰티' 관련 업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뷰티' 관련 업종은 네일케어, .. 더보기
4가지 키워드로 본 카페 2017 커피(카페)는 원래 외국인과 특권계층이 즐기는 고급 카페에서 판매하는 기호품이었습니다. 초기 커피는 호텔이나 고급 다방에서 판매하는 일반 대중들이 마시기에는 부담스러운 음료였는데요. 꾸준히 대중화되어 최근에는 카페가 9만 개에 이르는 모습입니다.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카페 트렌드를 4가지 키워드(Consumption, Adventure, Friend, Every Place)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신한카드 카페 관련 가맹점 9만 개, ‘11년 1분기, ‘13년 1분기, ‘15년 1분기, ‘17년 1분기를 비교첫 번째 키워드는 ‘Consumption’, 소비입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로 카페 이용건수 변화를 살펴보면 ‘11년 1분기 223만 건에서 ‘17년 1분기 845만 건으로 6년 사이 4배가.. 더보기
유동인구 Big5 서울 지하철 역세권 상권분석 ‘사람이 몰리는 곳에 돈이 모이고, 장사도 잘 된다’고 하는데, 이 말은 사실일까요? ‘역세권(驛勢權)’은 지하철이나 철도역을 중심으로 활동이 일어나는 세력권을 의미하는데요. 오가는 사람을 뜻하는 유동인구(流動人口)가 많아지면 상권이 살아나고, 임대료도 매우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역세권 지하철역인 고속터미널, 강남, 잠실, 홍대입구, 사당 5개 지하철역 반경 1km를 기준으로, 지난 3년간 신한카드 빅데이터 결제액을 분석해 상권별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 분석 5개 역의 선정기준은 2017년 2월 서울시에서 발표한 ‘교통카드 데이터로 본 16년 서울 대중교통 이용현황 수치를 기반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이용객이 많았던 상위순위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최근 3년 사이 카드 사용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어디.. 더보기
편의점을 애용하고, 인터넷 쇼핑을 즐기는 편넷족 편의점과 온라인이 급부상(急浮上)하고 있습니다. 편의점은 다른 유통업계가 불황의 늪에 빠져있는 동안 나홀로 성장하며 5년 만에 두 배 가량 성장해 20조원을 넘었는데요. 인터넷 쇼핑 또한 가파르게 성장하며 65조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편의점으로 출근한다’, 혹은 ‘온라인으로 쇼핑하고, 인터넷 세상에서 산다’는 말도 생겨났는데요. 이러한 새로운 新 쇼핑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소비자는 누구일까요? 편의점과 인터넷 쇼핑을 활발하게 하는 ‘편넷족’의 소비패턴을 신한카드 빅데이터로 살펴보았습니다.편의점과 인터넷 쇼핑몰을 1달에 4번 이상 이용하는 사람은 지난 3년간 47%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소비생활에서의 편의점과 인터넷 쇼핑 의존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용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편의점과 인터.. 더보기
'양'으로 승부하는 가용비 시대 여러분은 물건을 고를 때 어떤 점을 가장 많이 고려하시나요? 경기 불황 속 주머니 사정이 어려운 사람들이 늘어나며 한동안 가격 대비 성능을 따지는 가성비가 제품 선택에 있어 중요 척도로 자리 잡게 되었는데요. 최근 가성비를 넘어 ‘가용비’ 트렌드가 부상하고 있어 주목해 볼만 합니다. 가용비는 지불한 가격 대비 제품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용어이고요. 가격 대비 얻을 수 있는 혜택에 민감해지며 등장하게 된 또 다른 형태의 불황형 소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가용비 트렌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신한 트렌드연구소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가용비 트렌드 확산의 주된 배경은 성능에서 용량으로 제품의 비교 영역을 넓혀가는 알뜰 소비패턴.. 더보기
2017년 상반기 가맹점 이름으로 보는 뜨고 지는 키워드 더보기
FAST HEALING 짧아지고 빨라진 나를 위한 치유 스트레스와 피로에 시달리는 바쁜 현대인들. 하지만 정작 이를 해소하기 위해 ‘힐링’ 할 시간은 부족한데요. 시간에 쫓길 때 간편하게 먹는 ‘패스트 푸드’ 처럼, 한정된 시간을 쪼개 빠르게 ‘힐링’하는 모습을 ‘패스트 힐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패스트 힐링’의 모습이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신한카드 빅데이터를 통해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지친 현대인들이 피로를 풀고 신체적 회복을 하는 방법으로 수면, 안마(마사지), 스파 등 다양한 방법을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그 중 바쁜 생활 속에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잠에 대한 부족을 느끼며 많은 사람들이 힐링을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가 수면분야 입니다. 잠에 대한 부족은 집에서 긴 수면시간을 .. 더보기